-
<INTERMOT> 2020 | 세계적 모터사이클 전시회 ‘인터모트 2020’, 젊음과 비즈니스에 방점
세계적 모터사이클 전시회 ‘인터모트 2020’, 젊음과 비즈니스에 방점- 참가사 1,000여 개, 방문객 22만여 명, 전시규모 248,000㎡- 주요 전시 부문: 모터사이클, 커스텀바이크, e-바이크- BMW, 스즈키, 혼다, 두카티, 할리데이비슨, 가와사키, 인디언, SYM, KTM 등 참가- 2019 주요 키워드: 젊음, 비즈니스, 혁신, 라이프스타일- 세계 최대 게임쇼 ‘게임스컴’과 협력세계 최고 모터사이클 전시회인 독일의 ‘인터모트 2020(INTERMOT)’이 내년 10월 6~11일 개최를 앞두고 참가사 모집을 시작했다. 2년 주기로 개최되는 인터모트 2020은 1,000여 개사가 참가하고 22만여 명이 방문하는 세계적인 전시회로 전시규모는 내부 180,000㎡, 외부 68,000㎡로 총 248,000㎡에 달한다.인터모트에서는 모터사이클을 비롯해 커스텀바이크, e-바이크 등이 전시되며, 지난 회의 경우 BMW, 스즈키, 혼다, 두카티, 할리데이비슨, 가와사키, 인디언, SYM, KTM 등 세계적인 바이크 기업들이 대거 참가했다. 인터모트에서는 부품, 사이클복, 여행상품 등 바이크 관련 기타 제품도 비중 있게 전시되고 있다.인터모트 주최측은 2020의 주요 키워드로 젊음, 비즈니스, 혁신, 라이프스타일을 강조하고 있다. 이중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젊음이다. 주최측은 전시회를 찾는 많은 젊은층을 위해 모터사이클계의 유명한 인플루언서들을 초대하여 토크쇼, 라이브 스트리밍 등의 부대행사를 기획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 게임쇼인 ‘게임스컴’의 컨셉을 따와 모터사이클 e-스포츠와 시뮬레이터 부스를 마련하여 보다 역동적인 전시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인터모트에는 텍스랜드엔넥스코 등 한국에서도 여러 기업이 참가하고 있는데, 해외 시장 개척을 목표로 하는 이들 참가사들에게는 비즈니스에 방점을 찍은 것이 특히 중요하다. B2C와 B2B 전시를 겸하고 있는 인터모트는 지난 회의 경우 전체 비즈니스 방문객 중 35%가 해외 방문객이었으며, VIP 프로그램에 참여한 수입사는 1,400여 개에 달했다. 주최측은 2020년부터 기존에 하루만 진행했던 비즈니스 데이를 이틀로 늘려 참가사와 방문객의 비즈니스 성사율과 소통 기회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
- 2019-11-13
-
<A+A 2019> 리뷰 | 세계 최대 산업안전보건전 ‘A+A 2019’, 신기록 경신
세계 최대 산업안전보건전 ‘A+A 2019’, 신기록 경신- 63개국 2,121개사 참가, 134개국 73,000명 이상 방문 - 한국에서는 개별 참가 23개사, 한국섬유수출입조합 및 한국보호구협회 공동관 21개사 참가- 제36회 A+A 국제회의, 깊이 있는 정보와 국제 교류 기회 제공- 2019 주요 키워드: 지속가능성, PPE, 미래의 산업안전세계 최대 산업안전보건 전시회 ‘A+A 2019’가 지난 11월 5~8일 성황리에 개최됐다.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2년에 한 번 개최되는 A+A는 산업안전, 산업의학, 재난방지, 측정기술, 보호장치, 방호복, 보안기술, 환경보호 등 산업안전 분야 제품과 솔루션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다.A+A 2019는 63개국 2,121개사가 참가하고 134개국 73,000명 이상이 방문하면서 신기록을 경신했다. 한국에서는 효성티앤씨, 성진나이스 등 개별 참가사 23개사와 한국섬유수출입조합과 한국보호구협회가 각각 주관하는 공동관을 통해 21개사가 참가하여 총 44개사가 참가했다.73,000명 이상의 방문객 중 절반은 해외 방문객으로 137개국에서 다양하게 찾아왔다. 참가사의 경우 2,121개사 중 70%가 미국, 호주, 중국, 러시아, 인도 등 해외에서 참가한 기업이었다. 이와 같이 세계적인 산업안전보건전인 A+A에 대한 해외 참여 비중을 보면 산업안전을 중요시하는 세계적인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올해로 36회를 맞은 A+A 국제회의에도 5,200여 명이나 참석했다. A+A 국제회의에서는 근골격계 압박도 측정 솔루션, 장애인을 위한 업무 보조 기술 등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었으며, 참석자들 간의 네트워크 형성도 적극적으로 이루어졌다. A+A 국제회의를 주최한 독일산업안전보건연방협회(Basi)의 브루노 즈윙만(Bruno Zwingmann) 이사는 “특히 파키스탄, 미얀마, 방글라데시와 동유럽 방문객들 간의 소통이 활발했는데, 이 점이 특히 뿌듯했다”고 말한다.A+A 2019에서 눈에 띈 점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계속되는 관심이었다. 전시장 곳곳에서는 지속가능성을 강조한 제품과 솔루션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A+A 국제회의에서도 ‘지속가능한 섬유 제조’, ‘공정한 글로벌 공급망’ 등의 주제를 다루며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강조했다.PPE(개인보호장비)에 대한 관심도 여전히 뜨거웠다. A+A 2019에는 PPE 업체만 1,000개사 이상이 참가했다. 마켓리서치 기업인 marcom에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PPE 시장 규모는 2016년 19억2천만 유로에서 2018년 22억3천만 유로로 큰 폭 성장했다. 비어기트 호른(Birgit Horn) A+A 담담이사는 전시회에 출품된 PPE 제품의 다양성을 언급하며 “PPE 기업들이 혁신을 거듭하면서 PPE 시장도 계속 성장하고 있다”고 말한다.헬스앱, VR 고글, 하이테크 섬유 등 첨단 기술이 다양하게 전시된 ‘스타트업 특별전’을 비롯해 하이라이트 루트, 안전&보안 포럼 등의 부대행사에서는 디지털화를 위한 혁신을 다뤘는데, 이를 통해서 미래의 산업안전에 대해서도 엿볼 수 있었다.수많은 비즈니스 기회와 함께 다양한 인사이트를 남기고 폐막한 A+A의 다음 전시 일정은 2021년 10월 26~29일이다.
-
- 2019-11-10
-
<wire&Tube China 2020> | 중국 상하이 와이어&튜브 전시회 2020, 중국국제무역진흥위원회와 협력
중국 상하이 와이어&튜브 전시회 2020, 중국국제무역진흥위원회와 협력중국 와이어 튜브 산업 리딩 전시회 ‘와이어&튜브 차이나 2020(wire & Tube China)’이 내년 9월 23~26일 개최를 앞두고 중국국제무역진흥위원회와 손을 잡는 등 중국 내 관련 산업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나섰다.세계적인 와이어 튜브 전시회인 독일 ‘wire & Tube’의 글로벌 전시회이기도 한 와이어 튜브 차이나는 지난 9월 참가사 모집 개시 이후 2020년 전시 준비를 순조롭게 이어가고 있다. 전시회 주최측은 현재까지 참가사 신청 현황과 업계 반응으로 미루어 2020년에는 1,700여 개사가 참가하고, 48,000여 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중국을 비롯해 독일, 이탈리아, 북미, 오스트리아, 프랑스, 일본, 대만 등 많은 국가에서도 공동관을 운영할 것으로 알려져 국가별로 타겟팅을 원하는 관계자들의 관심도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와이어&튜브 차이나는 중국 내 영향력을 인정하는 기업들이 점점 많아지면서 최신 트렌드를 파악하고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전시회로 평가되고 있다.독일 와이어 관련 기업인 NIEHOFF의 베른트 로뮬러 세일즈이사는 “와이어 차이나에 수년간 참가해 왔는데, 여기에서는 중국 바이어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동남아 등에서 방문한 바이어들도 상당수 만날 수 있다”고 말했다. 2004년 첫 개최 이후 매회 참가해 온 중국 Singcheer의 빈헹 마케팅이사도 와이어 차이나를 훌륭한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강조하며 “와이어 차이나를 통해 전세계에 기계와 장비를 성공적으로 수출하고 있다”고 말했다.2020년에도 동시 개최되는 ‘상하이 패스너&테크쇼(Shanghai Fastener & Tech Show)’에 대한 기대도 크다. 와이어&튜브 차이나는 상하이 패스너&테크쇼와 함께 개최되면서 와이어, 케이블, 튜브, 파이프를 비롯해 패스너, 스프링 등에 이르기까지 관련 제품 전반을 다루는 원스탑 종합 플랫폼이라는 평가도 받고 있다.2020년에는 처음으로 ‘썸프로세스 차이나(THERMPROCESS China)’ 특별전이 운영된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 특별전은 세계 최대 금속산업대전인 독일 GMTN의 THERMPROCESS에서 파생된 행사로 중국국제무역진흥위원회 금속야금부(MC-CCPIT)에서도 협력하여 중국 내 많은 열처리 관련 기업들이 참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2019-10-25
-
<boot Düsseldorf 2020> 프리뷰 | 선진화된 레저 산업의 결정체 ‘보트뒤셀도르프 2020’, 내년 1월 개최
선진화된 레저 산업의 결정체 ‘보트뒤셀도르프 2020’, 내년 1월 독일에서 개최- 25만여 명 방문, 2천여 개사 참가, 22만㎡ 전시규모- 쟈뉴, 베네토, 바바리아, 씨라인, 그린라인 등 글로벌 기업 대거 참가- 한국에서 에어박스, 재이스 등 참가 예정- 다이빙 센터, 수중촬영 특별전, 크루즈 세미나 등 다양한 부대행사 기획- ocean tribute 어워드 수상자 보리스 헤르만, 그레타 툰베리와 환경 운동 지속세계 최대 보트 전시회 ‘보트뒤셀도르프 2020(boot Düsseldorf)’이 내년 1월 18~26일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개최된다. 보트뒤셀도르프는 일반 방문객도 입장할 수 있는 B2C 전시회로 비즈니스 방문객 4만5천여 명을 비롯해 총 25만여 명이 방문하는 세계적인 전시회이다.전시 규모가 22만㎡에 이르는 보트뒤셀도르프는 74개국에서 2,000여 개사가 참가하여 보트, 요트, 제트스키, 서핑, 카누, 스쿠버다이빙, 낚시 등 수상레포츠 제품을 전체적으로 선보인다. 수상레포츠 분야의 탑 전시회로 전세계의 주요 기업이 거의 모두 참가하는 보트뒤셀도르프는 다양한 제품군과 탁월한 전시 기획을 통해 매년 선진화된 레저 산업이란 무엇인지 보여주고 있다.보트뒤셀도르프 2020에는 쟈뉴, 베네토, 바바리아, 씨라인, 그린라인, 블루게임, 드안토니오, 한세 등 세계 보트 산업의 내로라하는 기업들이 대거 참가할 예정이다. 한국에서도 현재까지 에어텐트와 에어매트 등 레저용품으로 유명한 에어박스와 스탠드업보드 제조사인 재이스가 참가할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초 열렸던 보트뒤셀도르프 2019의 경우 에어박스, 제트웨이크, 아티슨앤오션 등 6개의 한국 업체가 참가해 해외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선 바 있다.보트뒤셀도르프 2020은 1홀이 새롭게 건축되면서 전시홀 레이아웃이 일부 변경될 예정이다. 전시회에서 가장 인기 있는 부문 중 하나인 다이빙 부문의 경우 2020년부터는 2개 홀(11, 12홀)로 확장하여 세계적으로 가장 큰 규모의 다이빙 전시를 선보인다. 다이빙 홀에서는 ‘다이빙센터’와 ‘수중촬영 특별전’ 등과 함께 보트뒤셀도르프의 대표적인 부대행사인 ‘Love your ocean’ 등이 열려 더 많은 발걸음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보트뒤셀도르프는 해양 레저 산업의 활성화뿐만 아니라 ‘ocean tribute 어워드’와 같은 행사를 통해 해양보호에 대한 관심도 불러일으키고 있다. 2017년부터 시작된 ocean tribute는 해양보호에 앞장선 사람들을 선정하여 기념하는 행사로 우승 상금은 2만 달러에 이른다. 2019년 우승자인 보리스 헤르만(Boris Herrmann)은 CO2 분압 측정 장치가 설치된 요트로 4년간 7만 해리를 항해하며 수집한 데이터를 과학계에 제공할 목표로 기획된 ‘Malizia Ocean Challenge’ 프로젝트로 ocean tribute 상을 수상했다. 그는 16세 스웨덴 출신 환경 운동가로 유명한 그레타 툰베리(Greta Thunberg)와 함께 순회 강연을 다니는 등 지금도 해양보호 운동에 앞장서고 있다.보트뒤셀도르프 2020에서는 이외에도 수상레포츠 초심자를 위한 boot 세일링 스쿨, 스타트 보팅 등을 비롯해 오션 필름 투어, 크루즈 세미나 등 수상레포츠 산업의 다양한 측면을 다룸과 동시에 즐거운 엔터테인먼트를 제공할 예정이다.
-
- 2019-10-24
-
<interplastica & upakovka 2020> 프리뷰 | 러시아 경기 회복세 딛고 플라스틱&포장 시장 진출 기회 잡아야
러시아 경기 회복세 딛고 플라스틱&포장 시장 진출 기회 잡아야- 활력 되찾는 러시아 경기 속 플라스틱&포장 분야 회복세 뚜렷- ‘인터플라스티카’, ‘우파코브카’ 플라스틱&포장 전시회로 러시아 및 동유럽 시장 공략- 2019년 개최 시 신규 고객 발굴 89%, 계약 체결 83% 기록- 한국에서 에스엠플라텍, 브이에프케이헤드, 명일폼테크 등 참가 예정- 폴리머 플라자, 3D 프린팅 특별전, 세이브 푸드 등 부대행사 마련러시아 경제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 올해 초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인터플라스티카(interplastica)’와 ‘우파코브카(upakovka)’를 보면 적어도 플라스틱과 포장 분야만큼은 경기 회복세가 확실해 보인다. 러시아는 한동안 지속됐던 경기 침체 이후 2017년부터 3년만에 플러스 성장으로 접어들었다. 현재 러시아는 공장 설비 현대화와 하이테크 소재에 많은 관심을 쏟고 있다. 이러한 수요는 특히 포장 기술과 플라스틱 가공 설비 분야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다. 플라스틱 분야의 경우 경제가 본격적으로 회복되기 시작한 2017년에 관련 기계 수입 규모만 4억5천만 유로를 넘어서며 전년 대비 40% 이상 증가했다. 포장 분야 역시 2017년 관련 기계 수입 규모가 6억4천만 유로를 돌파했는데, 역시 전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이다.이는 지난 두 전시회에 참가한 기업들에게도 호재로 작용했는데, 많은 방문객들이 확실한 구매 의사를 가지고 전시회를 방문했기 때문이다. 지난 회 전시회 개최 당시 메쎄뒤셀도르프의 베르너 마티아스 돈샤이트 회장은 “러시아 경제가 회복되고 있음을 전시장에서 느낄 수 있었다”며 “전시회에서 거래가 성사된 참가사들이 매우 많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참가사 설문조사 결과 신규 고객을 찾은 비율은 89%에 이르렀고, 계약 체결로 이어진 비율은 83%에 달했다.오는 1월 28~31일 개최를 앞둔 인터플라스티카와 우파코브카는 세계 최대 플라스틱 전시회 K와 세계 최대 포장 전시회인 ‘인터팩(interpack)’의 글로벌 전시회로 두 전시회의 세계적인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러시아 및 동유럽 시장 진출을 위한 관문 전시회로 평가받고 있는 인터플라스티카와 우파코브카는 각각 700여 개, 250여 개사가 참가하고, 2만5천여 명이 방문한다.플라스틱 산업을 다루는 인터플라스티카 2020에는 에스엠플라텍, 브이에프케이헤드, 명일폼테크 등 국내 유명 플라스틱 업체 3곳이 참가할 예정이다. 세 곳 모두 해외 시장에서 활약하고 있는 기업으로 인터플라스티카, K 등 해외 플라스틱 전시회에 지속적으로 참가하며 수출 저변을 확대하고 있다.인터플라스티카 2020에서는 환경 문제, 인더스트리 4.0 등을 주제로 한 부대행사가 마련된다. ‘폴리머 플라자(Polymer Plaza)’ 포럼에서는 순환경제, 재활용 트렌드, 바이오플라스틱 등 플라스틱 분야의 환경 문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개발 트렌드를 다룬다. 3D 프린팅을 다루는 ‘3D fab+print’ 특별전에서는 3D 프린팅 분야 참가사들의 최신 제품과 솔루션이 공개된다.우파코브카 2020 역시 환경 문제와 기술 혁신을 중심으로 한 ‘세이브 푸드(SAVE FOOD)’, ‘이노베이션파크(innovationparc)’ 등을 개최한다. 두 행사 모두 인터팩에서 가져온 부대행사로 ‘소비재 포장 사례’, ‘포장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음료 포장 기술’ 등 높아지는 포장 수요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이슈를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
- 2019-10-18